조회 수 1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S 윈도우 Print Spooler 취약점(CVE-2021-34481) 주의 권고



□ 개요
 o MS는 윈도우의 Print Spooler에서 발생하는 취약점 주의 권고 발표
 o 영향받는 시스템을 사용중인 사용자는 패치가 발표될 때까지 임시 대응 방안에 따라 조치 권고
 
□ 설명
 o Print Spooler에서 권한검증이 미흡하여 발생하는 임의코드실행 취약점(CVE-2021-34481) [1]
 
□ 영향을 받는 시스템
 o Print Spooler가 실행 중인 윈도우 및 윈도우 서버
  ※ MS는 현재 영향받는 윈도우 버전을 확인중에 있으며, 확인 완료시 재공지 예정
 
□ 영향 여부 확인 방법
 o Print Spooler 서비스 활성화 여부 확인
  - 윈도우의 파워셸 실행 후 아래의 명령어 실행

 

Get-Service –Name Spooler


 - Status가 Running인 경우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으므로, 아래의 임시 대응 방안에 따라 조치 필요
 
□ 임시 대응 방안
 o Print Spooler 서비스 중지
  - 파워셸 실행 후 아래의 명령어 실행

 

Stop-Service -Name Spooler -Force
또는
Set-Service -Name Spooler -StartupType Disabled


  ※ 해당 설정 적용 시 원격 프린트 서버 기능이 중단되므로 조직 영향도를 파악하여 적용 필요

 
[참고사이트]
[1] https://msrc.microsoft.com/update-guide/vulnerability/CVE-2021-34481

 

malware.png

 


  1. 시큐위즈 VPN 제품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2. MS 윈도우 Print Spooler 취약점(CVE-2021-34481) 주의 권고

  3. Mozilla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4. Oracle Critical Patch Update 보안 업데이트 권고

  5. Appl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6. Dell OpenManage Enterprise 보안 업데이트 권고

  7. 국세청 사칭 해킹 메일 주의 안내

  8.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증명서 사칭 스미싱 주의 권고

  9. MS 8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10. Adob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11. Mozilla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12. SAP 제품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13. LockBit 2.0 랜섬웨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

  14. 6년 동안 피싱 비용 약 4배 증가

  15. Adob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16. 다이볼(Diavol) 랜섬웨어와 TrickBot 조직과의 연결관계 증거 발견

  17. Cisco RV 공유기 보안 주의 권고

  18. Realtek SDK 결함을 이용한 공격

  19. 피싱 붐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소 은행 고객을 타깃

  20. BIND DNS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9 Next
/ 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