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0 10:39

랜섬웨어(Ransomware)

조회 수 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랜섬웨어(Ransomware) 정의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말하며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 스팸메일, 파일공유 사이트, 네트워크망을 통해 유포됩니다.

랜섬웨어 정의(상단 설명 참조)

*랜섬웨어 감염경로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 :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의 경우 단순한 홈페이지 방문만으로도 감염될 수 있으며,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by-Download) 기법을 통해 유포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PC의 운영체제 및 각종 SW의 보안 패치를 항상 최신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음란물, 무료 게임 사이트 등은 보안 관리가 미흡한 사이트로 이용 자제를 권고합니다.
    ※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는 취약한 웹사이트에 방문하였을 뿐인데 사용자 모르게 악성 스크립트가 동작하여 취약점을 유발시키는 코드를 실행하여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하여 사용자의 PC를 감염시키는 기법입니다.

    스팸메일 및 스피어피싱 :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수신시 첨부파일 또는 메일에 URL 링크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첨부파일 실행 또는 URL 링크 클릭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 사용자들이 메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하기 위해 ‘연말정산 안내’, ‘송년회 안내’, ‘영수증 첨부’ 등과 같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내용으로 위장하고 있어 출처가 명확한 첨부파일도 바로 실행하기보다는 일단 PC에 저장 후 백신으로 검사하고 열어보는 것을 권고합니다.

    파일공유 사이트 :

    토렌트(Torrent), 웹하드 등 P2P 사이트를 통해 동영상 등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실행할 경우,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

    최근 페이스북, 링크드인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단축URL 및 사진을 이용하여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특히 SNS 계정 해킹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로 위장해 랜섬웨어를 유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네트워크망 :

    네트워크를 통해 최신 보안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PC를 스캔하여 악성코드를 감염⦁확산시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PC의 운영체제와 SW의 최신 보안 패치를 적용하여 항상 최신의 보안 상태를 유지 하여야 합니다.

*주요 랜섬웨어

    워너크라이(WannaCry) :

    ‘17년 5월 12일(현지 시간 기준) 스페인, 영국, 러시아 등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서 피해가 보고된 악성코드로, 다양한 문서파일(doc, ppt, hwp 등) 외 다수의 파일을 암호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체제의 SMB(Sever Message Block, MS17-010)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감염시킨 후, 해당 PC 또는 서버에서 접속 가능한 IP를 스캔하여 네트워크로 전파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파일들을 암호화한 바탕화면을 변경하고, 확장자를 .WNCRY 또는 .WNCRYT로 변경
    워너크립터는 변종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미진단 변종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MS Windows 최신 보안 패치를 반드시 적용해야 함

    록키(Locky) :

    ‘16년 3월 이후 이메일을 통해 유포, 수신인을 속이기 위해 Invoice, Refund 등의 제목 사용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파일이 들어있는 압축파일들을 첨부하고 이를 실행 시에 랜섬웨어를 다운로드 및 감염
    록키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파일들이 암호화되고, 확장자가 .locky로 변하며, 바탕화면과 텍스트 파일로 복구 관련 메시지 출력
    최근의 록키 랜섬웨어는 연결 IP 정보를 동적으로 복호화하고, 특정 파라미터를 전달하여 실행하는 경우만 동작

    크립트XXX(CryptXXX) :

    지난 2016년 5월, 해외 백신사의 복호화 툴 공개 이후에 취약한 암호화 방식을 보완한 크립트XXX 3.0 버전이 유포
    초기에는 앵글러 익스플로잇 키트(Angler Exploit Kit)를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뉴트리노 익스플로잇 키트(NeutrinExploit Kit)를 사용
    크립트XXX에 감염되면 파일 확장자가 .crypt 등으로 변하고, 바탕화면 복구안내 메시지 변경
    비트코인 지불 안내 페이지에는 한글 번역 제공
    실행파일(EXE)이 아닌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DLL)형태로 유포
    정상 rundll32.exe를 svchost.exe 이름으로 복사 후 악성 DLL을 로드하여 동작
    현재 버전은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파일들을 암호화

    케르베르(CERBER) :

    CERBER는 말하는 랜섬웨어로 유명
    ※ 감염 시에 “Attention! Attention! Attention!? Your documents, photos, databases and other important files have been encrypted” 음성 메시지 출력
    웹사이트 방문 시 취약점을 통해 감염되며, 감염되면 파일을 암호화 하고 확장자를 .cerber로 변경, 최근 이메일 통해 유포되는 정황 발견
    악성코드 내에 저장되어있는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값을 사용하여 UDP 패킷을 전송,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더라도 파일은 암호화
    윈도우즈 볼륨 쉐도우(Windows Volume Shadow)를 삭제하여 윈도우 시스템 복구가 불가능하게 만듦

    크립토락커(CryptoLocker) :

    ‘13년 9월 최초 발견된 랜섬웨어의 한 종류로 자동실행 등록이름이 크립토락커(CryptoLocker)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
    웹사이트 방문 시 취약점을 통해 감염되거나, E-Mail 내 첨부파일을 통해 감염되며, 확장자를 encrypted, ccc로 변경
    파일을 암호화한 모든 폴더 내에 복호화 안내파일 2종류를 생성(DECRYPT_INSTRUCTIONS.* / HOW_TO_RESTORE_FILES.*)
    윈도우즈 볼륨 쉐도우(Windows Volume Shadow)를 삭제하여 윈도우 시스템 복구가 불가능하게 만듦

    테슬라크립트(TeslaCrypt) :

    ‘15년 국내에 많이 유포된 랜섬웨어로 ‘16년 5월경 종료로 인해 마스터키가 배포되었음
    취약한 웹페이지 접속 및 이메일 내 첨부파일로 유포되며, 확장자를 ecc, micr등으로 변경
    드라이브 명에 상관없이 고정식 드라이브(DRIVE_FIXED)만을 감염 대상으로 지정하며, 이동식 드라이브나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감염 대상에서 제외
    악성코드 감염 시 (Howto_Restore_FILES.*)와 같은 복호화 안내문구를 바탕화면에 생성

33333.png

 

 


  1. Appl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Appl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Apple社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1] o 공격자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Apple 제품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
    Date2021.02.08 Byezclean Reply0 Views103 file
    Read More
  2. 콘텐츠(구글 등) 결제 피해 예방을 위한 사용자 주의사항 권고

    콘텐츠(구글 등) 결제 피해 예방을 위한 사용자 주의사항 권고 □ 개요 o 최근 이용자 계정정보가 유출되어 콘텐츠 결제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예방을 위한 보안 권고 사항 안내 □ 대응방안 o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조합하여 추측하기 어...
    Date2021.02.08 Byezclean Reply0 Views102 file
    Read More
  3. dnsmasq 신규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Dnsmasq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 [1]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임의코드실행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dnsmasq에서 버퍼오버플로우로 인해 발생하...
    Date2021.01.26 Byezclean Reply0 Views102 file
    Read More
  4. CPU 칩셋 보안 업데이트 권고

    CPU 칩셋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Intel, AMD, ARM의 CPU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 o 영향 받는 버전 사용자는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CPU의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으로 인해 캐시 ...
    Date2022.03.17 Byezclean Reply0 Views101 file
    Read More
  5. Apache Log4j 2 보안 업데이트 권고

    Apache Log4j 2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Apache 소프트웨어 재단은 자사의 Log4j 2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권고[1]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 감염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수 있으므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
    Date2021.12.13 Byezclean Reply0 Views101 file
    Read More
  6. 무선랜 보안

    무선랜이란? 무선랜이란 선 연결 없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무선 인터넷 이용환경을 말합니다. 무선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선 공유기등 무선 접속장치가 필요합니다. 무선랜 보안은 왜 필요할까요? 보안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무선랜은 외부...
    Date2020.11.25 Byezclean Reply0 Views101 file
    Read More
  7. 60개 이상의 기기 제조 업체에게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 Facebook

    60개 이상의 기기 제조 업체에게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 Facebook 데이터 공유 관행 논란에 휩싸인 페이스북이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블랙 베리 삼성 등 60여개 기기 업체에 사용자 데이터 접근을 부적절하게 허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
    Date2018.08.07 Byezclean Reply0 Views101 file
    Read More
  8. IBM 제품 업데이트 권고

    IBM 제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IBM은 자사 제품의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1] o 영향받는 버전을 사용 중인 시스템 사용자는 해결 방안에 따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에서 발생하는 원격 코...
    Date2023.02.16 Byezclean Reply0 Views99 file
    Read More
  9. AWS Log4j 핫픽스 수정 보안 업데이트 권고

    AWS Log4j 핫픽스 수정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Palo Alto Network 보안 연구원은 기존에 배포한 AWS(Amazon Web Services) Log4j 핫픽스 등에서 취약점을 발견, 추가적으로 Amazon社에서는 이를 해결한 새로운 버전의 Log4j 핫픽스 최종 보안 업데이트 ...
    Date2022.04.26 Byezclean Reply0 Views99 file
    Read More
  10. MS 윈도우 Print Spooler 취약점(CVE-2021-34527) 보안 업데이트 권고

    MS 윈도우 Print Spooler 취약점(CVE-2021-34527)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MS는 Print Spooler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1] o 영향받는 버전을 사용중인 시스템 사용자는 해결 방안에 따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
    Date2021.07.09 Byezclean Reply0 Views99 file
    Read More
  11. ipTIME NAS 보안 업데이트 권고

    ipTIME NAS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EFM 네트웍스는 ipTIME NAS 장비의 보안 업데이트 발표 o 초기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NAS 장비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공격자가 관리자 페이지에 ...
    Date2021.11.22 Byezclean Reply0 Views99 file
    Read More
  12. Citrix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Citrix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Citrix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o 낮은 버전을 사용 중인 시스템 사용자는 해결 방안에 따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Citrix ADC 및 Citrix Gateway에서 발생하...
    Date2022.05.30 Byezclean Reply0 Views98 file
    Read More
  13. Cisco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Cisco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Cisco는 자사 제품의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공지 [1] o 영향받는 버전을 사용 중인 이용자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Cisco Unified Contact Center Management Portal(CCMP) 및 Contact Cente...
    Date2022.01.14 Byezclean Reply0 Views97 file
    Read More
  14. HP Device Manager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HP 社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공지 [1]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권한상승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1] o HP Device Ma...
    Date2020.12.02 Byezclean Reply0 Views97 file
    Read More
  15. 랜섬웨어(Ransomware)

    랜섬웨어(Ransomware) 정의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이를 인질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말하며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 스팸메일, 파일공유 사이트, 네트워크...
    Date2020.11.20 Byezclean Reply0 Views97 file
    Read More
  16. 브리스톨 공항의 비행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무너뜨리는 랜섬웨어 공격

    브리스톨 공항의 비행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무너뜨리는 랜섬웨어 공격 브리스톨 공항은 이틀 동안 비행 정보 화면을 마비시킨 랜섬웨어 공격을 비난했습니다. 공항 측은 이번 공격이 금요일 오전부터 시작돼 공항망을 통해 항공편의 도착과 출발 정보에 대한 ...
    Date2018.09.18 Byezclean Reply0 Views97 file
    Read More
  17. CPU 칩셋 취약점(Retbleed) 보안 업데이트 권고

    CPU 칩셋 취약점(Retbleed)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Intel, AMD, ARM CPU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 o 영향 받는 버전 사용자는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CPU의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
    Date2022.07.22 Byezclean Reply0 Views95 file
    Read More
  18. VMwar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VMware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VMware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o 영향받는 버전을 사용중인 이용자는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vCenter Server 및 Cloud Foundation에서 입력값 검증이 미흡하여 ...
    Date2021.05.28 Byezclean Reply0 Views95 file
    Read More
  19. VMware 제품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VMware 제품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VMware는 자사 제품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발표 o 영향받는 버전을 사용중인 이용자는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Carbon Black Cloud Workload의 관리자 인터페이스에서 인...
    Date2021.04.06 Byezclean Reply0 Views95 file
    Read More
  20. MS Exchange Server ProxyShell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MS Exchange Server ProxyShell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최근 MS Exchange Server의 ProxyShell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발생하고 있어 보안 업데이트를 권고함 □ 설명 o Exhcange Server에서 발생하는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CVE-2021-31207) [1]...
    Date2021.08.26 Byezclean Reply0 Views95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
XE Login